책 ‘내면소통’의 극 초반부를 읽고, 제 방식대로 재구성하여 영작해 봤습니다.
분명 많은 학자들은 인간의 뇌는 대단하고 효율적이라고 하는데요,
It is apparent that many scientists have been insisting human brain is amazing and very efficient,
우리는 긴장을 하게 되면 평소보다 몸이 경직되고 머리가 잘 굴러가지 않는 걸 경험합니다.
but, when we get nervous, our body becomes stiff and we can’t think properly.
이에 대한 과학적인 실마리 :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생존방식은 크게 변화했는데, 뇌 작동방식은 여전히 석기시대에 머물러 있다. 즉, 우리의 뇌는 원시인과 다를 바 없다.”
A scientific reason for this, a scholar said, “In this modern society, how we survive has changed a lot, but how our brains work is still staying in the Stone age. So that means our brains have no difference with ‘cavemen.’”
원시인들이 사냥 도중 멧돼지를 만났습니다. 도망을 치거나 맞서 싸우거나 둘 중 하나를 행하겠죠.
A caveman runs into a boar during hunting. He has to fight against it or run away from it.
멧돼지 문제에 집중하기 위해 뇌는 심박수를 올려 근육세포에 많은 에너지와 산소를 공급하고,
In order to focus on this wild boar, his brain will increase his heart rate and send lots of energy to the muscle cell.
그리고 근육을 미리 수축시킵니다.
Muscles will be contracted beforhand.
그동안 소화기관과 면역체계는 절전모드에 들어갑니다.
Meanwhile, his digestive system and immune system will enter into sleep mode.
침착하게 문제 해결방안을 고민하는 전전두피질의 인지기능은 촉박하지 않을 때 필요한 것입니다. 일단 눈 앞에 있는 멧돼지에 대해 본능적이고 직관적이게 대응해야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The awareness function of frontocortical, which works for complex problem-solving, is only necessary while we are not in a hurry.
이 땐, 사람은 편도체 중심의 신경망에 의존하게 됩니다.
When we are in a hurry, the brain will rely on amygdala.

편도체는 두려움과 공포라는 감정을 일으킵니다. 이것이 생존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Amygdala arouses the feeling of fear and dread.
원시시대에는 이러한 뇌 작동 방식이 매우 합리적이었습니다.
In those days, I mean, in primitive era, it was very reasonable to operate our brains in this way.
대부분의 위협은 대개 피지컬로 해결하는 일이었고, 그 위기의 결과는 금방 결정났거든요.
The risk was about a matter of physical abilities, and the result came out pretty quickly.
하지만 현대인에게 위협을 가하는 문제들은 근육의 힘으로 해결되는 것들이 별로 없습니다. 중요한 시험을 앞둔 수험생, 면접을 앞둔 취준생, 중대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직장인
However, today, this is not the case. For example, students preparing for important test, job seekers who have interviews soon, and workers who have a huge project in progress.
10분 안에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죠? 짧게는 1주일 길게는 1년 동안 끌고가야할 문제입니다.
They are not dealing with 10-minutes problems, right? It would take a week, or take a year.
그러나 우리 뇌는 여전히 이런 문제들을 ‘멧돼지’로 여깁니다.
However, our brains still aware them as ‘wild boars.’
문제를 다룰 때, 편도체가 활성화되어 불안감 내지 공포심을 유발합니다.
While dealing with those kind of problems, amygdala is activated and causes fear and dread.
근육은 긴장하고, 소화기능, 면역기능, 그리고 인지능력은 저하됩니다.
Muscles get stiff and the digestive system, immune system, and cognitive ability malfunction.
침착함도 잃게 됩니다. : 문제 해결에 매우 방해되는 반응이죠.
we even lose our temper sometimes, which is very bad for problem-solving.
시험을 잘 보고 면접을 잘 치르려면, 논리적 사고력과 이성적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한데,
우린 장소에 도착하면 몸이 경직되고 심박수는 올라가고 머리가 하얘집니다.
In specific, we need to think rationally and logically to get a high score or do well on interviews. However, as we get to the place, we are stressed and our heart rate bumps up with negative feelings. Our mind goes blank.
현대의 위기상황은 전전두피질 중심의 신경망을 사용해야 효율적으로 해쳐나갈 수 있는데, 뇌는 이 상황에 편도체 중심의 신경망을 통해 감정적 대응을 하려 합니다.
Shortly, modern men can get over challenges by using frontocortical, but brains tend to use amygdala.